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란?
소마는 2010년부터 시작한 최우수 SW 인재를 발굴하여, 체계적이고 파격적인 지원을 통해 SW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기획된 정부 지원 사업입니다.
작년 15기는 광탈을 맛봐서 그런지 올해는 정말 간절했습니다. 내년에는 취준을 해야하는 나이이기에 올해가 아니라면 도전할 엄두가 안 날 것 같았습니다.
지원서
(*필수) [자기소개] SW분야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몰입했던 경험과 도전이 무엇인지, 또한 이러한 성장과정을 통해 얻은 배움은 무엇인지를 서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최소 400자, 최대 1000자 입력가능)
(*필수) [연수계획서] SW마에스트로 과정 참여를 통해 어떠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싶은가요?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과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최소 400자, 최대 1000자 입력가능)
지원서는 두 항목이었는데 사실 지원서는 공백이 아닌 이상 패스가 되기에 자신의 얘기를 거짓없이 적으면 됩니다.
1차 코딩 테스트
전체적인 난이도는 실버~골드 정도였고 요즘 코딩테스트 특성인 구현 느낌의 문제였습니다.
저는 4솔을 했고 1차합은 3솔컷이었던 것 같습니다.
2차 코딩 테스트
1. 이분 탐색
2. 문자열 구현(?)
3. BFS
4. DP(?)
5. 프로그래머스 3-4단계 느낌?
2차 코딩테스트는 전반적으로 1차와 비슷했습니다.
저는 3.5솔을 했고 2차합은 3솔컷이었던 것 같습니다.
면접
저는 면접 준비를 스터디를 통해서 했습니다. 같이 준비하시는 분들이 다 훌륭한 사람들이었어서 혼자 위축이 많이 됐던 것 같네요.
소마를 준비 하신다면 카카오톡에서 소마 준비방을 들어가시면 좋습니다!
면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혼자 CS를 많이 준비한 것 같은데 아래 자료도 참고하시면 나쁘진 않을 것 같아요.
근데 웬만하면 포트폴리오에서 질문이 들어옵니다.
CS | Notion
JAVA
broad-yttrium-6b9.notion.site
저는 대부분 인성 질문을 받았습니다.
1.IoT API를 이용했다고 했는데, HTTP 말고는 어떤 방식을 고민해볼 수 있을까요?
2. 블로그를 자주 쓴다고 하셨는데, 실제로는 그렇게 자주 쓰신 것 같진 않은데요?
→ 질문하실까 봐 일부 게시글을 비공개로 설정해두었는데, 그 부분에서 피식 웃으셨습니다.
3.프로젝트 진행 시 GitHub 브랜치가 왜 final 브랜치만 남아 있나요?
→ 제가 GitHub 이메일을 제대로 설정하지 않아서 커밋 기록이 안 남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메일을 다시 설정하고, 커밋 이력을 정리하느라 부득이하게 브랜치를 모두 삭제하게 되었습니다.
4. 프로젝트가 잘 진행되지 않을 경우, 책임은 어떻게 나누실 건가요?
→ 그런 경우에는 보통 “우리가 이번에 많이 배웠으니까, 다음엔 더 잘해보자”는 분위기로 마무리하며 소주를 마셨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질문을 들으면서 속으로 ‘정확히 어떻게 나눠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어서, 죄송하지만 솔직하게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답변드렸습니다.
5. [공통 질문] 소마가 왜 본인을 뽑아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6. [공통 질문]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저는 질문을 많이 못 받고 다른 분들이 많이 받아서 면접이 끝나고 걱정이 많이 됐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후련했습니다. 열심히 준비했기에 떨어지면 많이 아쉽겠지만 소프티어를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면접까지 가시면 내가 안 한 것을 했다고 거짓말 치지 말고 질문에 모르겠으면 모르겠다고 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합격
금요일 2시 정각이 정배였는데 20분까지도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심장이 매우 떨렸습니다.
캡스톤 회의 중에 단톡방에서 "소마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프로필이 바뀌어 있다"는 메시지를 보고 들어가 봤는데,
제 프로필에 "16기 연수생"이라고 적혀 있는 걸 보고 정말 행복했습니다.
소마를 준비하면서 정말 많은 블로그 글들을 찾아봤습니다.
‘나도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마음속으로 수없이 던졌고, 미천한 저도 이렇게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꼭 17기 연수생이라는 꿈을 이루시길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 Prometheus & Grafana & K6를 이용한 모니터링 한방 정리 (2) | 2025.01.31 |
---|---|
[MySQL] SQL 기본 문법 정리 (0) | 2025.01.04 |
[Spring] Redis 써서 JWT 토큰 캐시에 저장하기 (0) | 2024.11.24 |
[Spring] Spring Security, OAuth 2.0, JWT로 카카오 로그인 구현하기 (0) | 2024.11.22 |
[배포] Docker, spring을 통한 무중단 배포 구현 (2) | 2024.10.16 |